본문 바로가기

리스크 인사이트

[오영수의 ‘보험 인사이트’] 보험사가 헬스케어 사업 성공하려면

향후 보험회사의 헬스케어 사업 진출이 더욱 활발할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사업영역으로 헬스케어를 지목하고 있는 보험산업에 감독당국이 헬스케어 자회사 허용 등 규제완화 의지를 최근 들어 거듭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앞서 감독당국은 지난 2월에 AI 기반 운동 코칭 서비스 출시 허용, 헬스케어 전문 자회사 설립 추진 등에 이어 7월에는 플랫폼 기반의 종합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개선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많은 보험회사가 부수업무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 보험회사는 헬스케어 자회사를 설립하였고 다른 보험회사들도 자회사 설립을 계획하고 있다. 현재 보험회사가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비스의 대부분은 아직 건강관리를 보조하는 역할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헬스케어 서비스는 궁극적으로 원격의료와 결합하여 발전할 것이므로, 예방적 건강관리 활동을 기반으로 진료와 연계될 수 있게 확대될 필요가 있다.

문제는 법률적으로는 의료행위와 헬스케어 서비스를 구별하지만, 실무적으로는 경계가 모호한 영역이 있을 수 있는 점이다. 그렇다 보니 자칫 헬스케어 서비스가 의료행위가 되어 의료법을 위반할 수도 있어 서비스 제공이 소극적으로 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헬스케어 서비스는 보험보다는 의료영역에 가까워서 크게 명성을 얻고 있는 병원 또는 제약회사 등이 직접 또는 헬스케어 자회사를 통해 이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헬스케어 사업모형은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진화를 거듭하고 있어, 질 높은 서비스 경쟁의 끝은 어디일지 알 수 없다. 나아가 헬스케어 서비스의 제공이 글로벌화 추세를 보여 자본력이나 기술력에서 앞선 선진 헬스케어 회사의 진입도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험회사가 헬스케어 사업에서 성공하려면 몇 가지 사항을 사전에 충분히 숙고할 필요가 있다. 첫째는 보험회사 사업모형의 발전에서 헬스케어가 갖는 의의 및 역할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서 헬스케어 사업 참여의 필요성이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는 헬스케어 사업 진출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이 내려졌다 해도 중장기적 상황까지 고려하여 사내 부수업무, 자회사 설립, 제휴 등에서 어느 방식이 적절할지 평가할 필요가 있다. 장기간 수익을 내기보다는 비용을 들이게 될 사업을 얼마나 유지할 수 있을지를 잘 판단해야 한다.

셋째는 사업을 이끌 전문가를 얼마나 배치하고 어떻게 대우할 수 있을지 검토해야 한다. 많지 않은 전문가를 두고 인재 유치 경쟁에 돌입하면 비용만 높이게 될 것이다. 더구나 헬스케어 전문가는 보험산업에서 일해온 인재들과 다른 기업문화 환경에서 성장하여 보험회사의 기업문화에 적응이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신뢰받는 전문가가 성공모델을 만들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주는 것도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헬스케어 플랫폼 간 경쟁이 격화하면 궁극에는 소수의 플랫폼만 남게 되는 상황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헬스케어 플랫폼의 핵심 경쟁력으로 중요한 요소가 데이터와 규모의 경제이기 때문이다. 결국 대부분의 헬스케어 플랫폼은 경쟁에서 탈락하고 보험회사는 소수의 플랫폼과 제휴하여 사업을 영위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보험회사의 노력에 더해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보건당국의 규제도 더 완화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보건당국의 규제완화는 금융당국의 규제완화보다 더 난해하다. 규제체계가 복잡한 것은 물론이고 이해관계자도 많으며 반대도 심하기 때문이다. 물론 보험회사만의 과제는 아니지만 이를 풀 수 있을 때 보험회사의 헬스케어 사업은 국민에게 더욱 의미 있는 서비스로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출처: 한국보험신문, 2021. 12. 27.

 

헬스케어    출처: Pixabay